카테고리 없음

유산·사산휴가 제도 총정리|최대 90일 유급휴가 받는 법

gree3 2025. 8. 16. 20:33
반응형

유산사산휴가 제도 총정리

 

유산·사산휴가 제도 총정리|최대 90일 유급휴가 받는 법

임신 중 유산이나 사산을 경험한 여성 근로자를 위한 보호 제도,
바로 유산·사산휴가 및 급여 지원 제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고용노동부는 근로자의 건강권과 회복을 위해 최대 90일까지 유급휴가를 보장하고 있으며,
이는 출산전후휴가와 동일한 수준의 급여도 지원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오늘은 유산휴가, 사산휴가 신청 방법부터 지원 조건, 기간, 급여지급 기준까지
하나씩 꼼꼼히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유산·사산휴가란?
  2. 유산휴가와 사산휴가의 대상
  3. 임신 주차별 휴가 기간
  4. 급여 지급 기준 및 신청 방법
  5. 신청 시 주의사항
  6. 사용자(사업주) 위반 시 처벌
  7. 자주 묻는 질문 (FAQ)
  8. 마무리 요약

1. 유산·사산휴가란?

유산 또는 사산을 경험한 임신 중 근로자에게 10일~90일의 휴가를 부여하고, 급여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관련법: 근로기준법 제74조
  • 시행기관: 고용노동부
  • 급여지급 주체: 고용보험

이 제도는 임신 중 신체적·정신적 충격을 겪은 근로자에게 회복의 시간을 보장하고,
불이익 없이 다시 업무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2. 유산휴가·사산휴가의 대상

✅ 대상자

  • 임신 중 유산 또는 사산한 여성 근로자
  • 고용형태에 상관없이 정규직·비정규직 모두 포함

❗ 예외 사항

  • 인공임신중절 수술로 인한 유산은 제외됩니다.
  • 단, 모자보건법 제14조 제1항에 따라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 경우는 포함됩니다.
    (예: 산모의 건강위험, 강간·근친 등에 의한 임신 등)

3. 임신 주차별 유산·사산휴가 기간

임신 주차휴가 일수
15주 이내 10일
16주 ~ 21주 이내 30일
22주 ~ 27주 이내 60일
28주 이상 90일
  • 휴가는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계산되며,
    청구가 늦어질수록 휴가일수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4. 유산·사산휴가 급여 지급 기준

유산휴가와 사산휴가의 급여는 출산전후휴가급여와 동일하게 지급됩니다.

💰 급여 조건

  •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함
  • 유산·사산한 사실이 명시된 의료기관 진단서 1부 제출 필수
    • 진단서에는 임신 주차가 기재되어 있어야 함

📄 제출서류

  • 유산·사산휴가 신청서
  • 의료기관 진단서 (의료법상 병원, 산부인과 등)

5. 유산휴가 신청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유산 또는 사산한 날짜 기준으로 소급 계산
  • 늦게 신청하면 휴가일수 손실 발생
  • 회사가 허용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부에 민원 가능

6. 사용자(사업주) 위반 시 처벌

유산휴가나 사산휴가를 허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처벌됩니다.

  •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 고의적인 급여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에 진정 가능

※ 이는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되며, 회사의 법적 리스크가 큽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계약직이나 비정규직도 유산휴가 신청 가능한가요?

네.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가능하며,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합니다.

Q2. 급여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고용노동부 산하 고용센터 또는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 고용보험 사이트

Q3. 의료기관 진단서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나요?

→ ‘유산 또는 사산 사실’, ‘진단일’, ‘임신 주차’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8. 마무리 요약

유산·사산휴가는 여성 근로자의 회복권을 보호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임신 중 불가피한 사유로 유산 또는 사산을 경험한 경우,
단순 휴가 차원을 넘어 급여까지 지원되므로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및 문의처

 

반응형